MY MENU

이사 체크사항

이사 체크사항

1 이사 날짜 계획

이사할 집을 답사하여 집의 상태를 다시 확인합니다.
나에게 시간이 좋은 날과 손없는 날, 토,일요일로 할지 생각하여 예약하고, 장거리 이사에도 미리 예약을 하셔야 좋습니다. 또, 간편한 이사나 원룸 이사의 경우에도 5~3일전에는 예약을 하셔야 합니다.

2 이사 7일 전

각종 통장과 신용카드의 주소 변경을 시작합니다.
전화이전 신청을 하고 관할 우체국에 직접 주소이전 신고를 하거나 우체국에 비치되어 있는 "주소이전 신고엽서"에 전주소와 새주소를 기재하여 우체통에 넣으면 신고가 완료됩니다. 엘리베이트를 사용하여 이사할 경우에는 관리사무소에 엘리베이트 사용을 예약하여야 합니다. 서서히 이삿짐 포장을 시작하는데 당장 쓰지 않을 물건들을 먼저 포장합니다. 그리고 이사시 도울 사람을 물색합니다.

3 이사 2~5일 전

이사할 집을 방문하여 가구배치도(도면)를 작성합니다 . 이때에 전기콘센트 위치를 꼭 표기하고 창문의 위치도 파악합니다. 신문,우유 등은 배달 중지를 요청하고 수도료 전기료 등의 공과금과 관리비를 정산합니다. 이사갈 집의 전등,변기,장판 상태를 파악한 후 필요시 도배기술자, 실내인테리어와 계약을 합니다. 전입신고는 이사 후 14일이내에 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사 전에 미리 관할 주민자치센타에 신고합니다. 전출신고 및 예비군 민방위대원 전입신고는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4 이사 하루 전

마무리 이삿짐포장시 앵글,커텐 등 부착물을 분리합니다.
반드시 냉장고의 음식물을 정리하고, 정수기 에어컨 TV안테나 가스시설을 분리합니다.
도시가스의 경우 미리 연락합니다.

5 이사 당일

이웃과의 작별인사를 합니다.
귀중품과 계약서를 다시 점검합니다. 이사비용을 정산하고, 전화 인터넷을 개통합니다.

6 이사 후

이사짐을 정리하고 난 후 초등학생은 거주지 주민자치센타(동사무소)에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받아 해당학교로 전학시키고,중학생은 전학용 재학증명서를 떼어 해당교육청에 제출하고, 고등학생은 이사한 주소지에 등재된 주민등록등본을 떼어서 관할 시,도 교육청에 제출해 학교를 배정받아 전학을 시킵니다. 세입자의 경우에는 이사간 곳의 관할 등기소에 "도장, 전세계약서(임대차계약서), 전입신고 후 주민등록 등본을 가지고 가서 임대차계약서 원본에다가 이사날짜에 대한 "주택임대차확정일자인을 받습니다. 의료보험은 카드만 가져가면 되지만, 자동차등록변경에는 전입시 자동변경되나 구형번호판은 변경해야 합니다. 이웃과 인사를 나누며 친해지기를 합니다..